모바일 메뉴 닫기
 

열린마당

제목
고연욱박사, 오영준 교수 퇴행성 뇌질환 모델에서 Cyclin-dependent kinase 5 (CDK5)과활성화에 따른 Fbxw7 단백질의 감소의 기전 규명
작성일
2020.08.19
작성자
시스템생물학과 관리자
게시글 내용

2019-08-05

퇴행성 뇌질환 모델에서 Cyclin-dependent kinase 5 (CDK5)과활성화에 따른 F-box and WD repeat domain containing 7 (Fbxw7) 단백질의 감소의 기전규명


- CDK5 의 활성을 조절하는 인자인 p35 단백질이 주로 신경계 내에서 존재한다 . 따라서 , CDK5 는 신경세포의 발생 , 분화 및 사멸에 관련되어 그동안 연구가 진행되어 왔다 . 특히 다양한 퇴행성 뇌질환에서는 활성조절인자 단백질인 p35 가 p25 로 절편화 되는 현상이 보고되었고 , 이에 따라 CDK5 의 활성이 과도하게 높아져 있다 . p25 로 절편화가 되면 그림에서 볼 수 있듯이 p25 의 mislocalization 에 따른 핵내기질의 인산화가 일어날 가능성이 높아진다 . 따라서 과활성화된 CDK5 에 의해 조절받는 핵내인자를 새롭게 발굴하는 것은 퇴행성 뇌질환 연구 및 장기적인 약물후보군 확립에 큰 도움이 되어 왔다 .


- 본 연구실에서는 고연욱 박사의 주도하에 CDK5 가 과활성 되어있는 퇴행성 뇌질환 모델에서 Fbxw7 의 양적감소가 일어나는 현상과 이에 관련된 분자생물학적인 기전을 제시하여 세포사멸분야의 저명학술지인 Cell Death and Disease 에 게재를 하게 되었다 .


- 구체적으로 CDK5/p25 를 과발현 시킨 모델에서 CDK5 는 Fbxw7 의 S349 와 S372 site 에 인산화를 시키며 , CDK5/p25 knock-down 모델에서 이와 같은 인산화가 나타나지 않음을 관찰하였다 . Fbxw7 의 인산화는 UPS 나 calpain 에 의해 절단이 되어 발현양이 감소하게 됨을 밝혔다 .


- Fbxw7 은 그동안 E3 ligase 의 component 로 주목을 받아왔으나 신경세포내에서의 역할에 대한 연구는 미진한 상태였다 . Fbxw7 의 세포내기질로는 c-Jun, c-Myc, Notch 등이 밝혀져 있다 . 본 연구에서는 CDK5 의 활성에 따라 Fbxw7 의 양적인 변화가 일어나면 세포내 기질중에서 c-Jun 의 발현양이 결과적으로 negatively regulation 됨으로서 CDK5-Fbxw7-c-Jun axis 가 신경세포사멸을 조절함을 최초로 밝혔다 . 또한 , CDK5-E3 ligase-neuronal cell death 로 이어지는 중심축의 존재를 CHIP 에 이어 두 번째로 제시하는 개가를 이룩하였다 . 현재 middle cerebral artery occlusion model 을 통해서 위의 결과를 심화시키는 연구에 집중하고 있다 .


-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Fbxw7 (또는 E3 ligase)단백질이 퇴행성뇌질환에서의 역할을 심층적으로 분석하고 이를 치료제의 발굴을 위한 생물학적인 지표로 활용할 것을 기대하고 있다 .


※ 「Cell death and Disease 」誌 게재 ('19.08)